OkHttp 결과 데이터의 중복 결과값들을 하나의 data class로 처리하기! 지난 Retrofit관련 포스팅 이후에, 곰곰이 생각해 보니까 빼먹은 내용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추가로 포스팅을 남겨봅니다.보통 같이 일하는 백엔드 개발자 분에 따라, 회사 정책에 따라, 많이 변화되는 부분인데요. 어떤 결과값을 API에서 넘겨주느냐에 따라서 이 내용이 도움이 될 수도 안될 수도 있겠습니다.테스트 API에서는 딱히 필요 없는 내용이고, 저희 사내 API 규칙에는 필요한 내용인데요.API결과 데이터 중, RESULT 데이터가 아닌 Response 구조가 중복처리될 때, 사용합니다.지난 포스팅에서 inteceptor를 통해 데이터를 받기 전에 여러 처리들을 하는 코드를 넣어보았는데요로그 확인용헤더 삽입용이번에는 공통 response 값들을 묶어서 하나의 데이터 클래스로 처리하기 위한 방법입니.. 2024. 8. 5. 의존성 주입은 Hilt로, 네트워크 통신은 Retrofit으로 Hilt를 사용하다 보면 빌드에러를 자주 보곤 합니다. 뭐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Hilt의 에러는 빌드 시에 판단되니까요.이번 포스팅에서는 네트워크 모듈과 관련된 내용입니다.Retrofit 을 구현하여 API를 연동할 때, 어떤 레포지토리를 구성해야 하는지, 인터페이스와 Multiple 하게 구현해야 할 때는 어떤 것을 주의해야 하는지 등 전반적인 구현을 다루어볼 예정입니다.일단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dependency를 추가해줍니다.build.gradle.ktx(:project)id("com.google.dagger.hilt.android") version "2.48" apply falsebuild.gradle.ktx(:app)hilt와 네트워크 통신 라이브러리인 retrofit과 okhttp를 .. 2024. 6. 25.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